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i
- computer
- github
- deeplearning
- paper_review
- computer_setting
- Standford
- code
- text
- git
- Vim
- install
- gensim
- Stanford
- slideshare
- pip
- cs224n
- terminal
- Statistics
- json
- nlp
- tab
- natural_language_processing
- error
- machinelearning
- cs231n
- review
- linux
- seq2seq
- language_model
- Today
- Total
목록terminal (3)
NLP/AI/Statistics
텍스트 파일이 여러개 나누어져 있을 때 이를 터미널에서 한번에 합칠 수 있다. 예를 들어, example1.txt example2.txt example3.txt가 있을 때, 위의 세개 파일을 total.txt로 합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cat을 실행하면 된다. catexample∗.txt>total.txt이때세개의파일이름이맨뒤숫자이외에동일하여example∗.txt로표기하였는데,이름이제각각일경우엔합치길원하는파일명을나열한후>(화살표)로하나의텍스트파일을만들면된다.예를들어,a.txtb.txtc.txt를d.txt로합칠경우아래와같다. cat a.txt b.txt c.txt > d.txt
간혹 기존에 작업하는 코드를 원격으로 수정하는 과정에서 Taberror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데스크탑에서의 Tab 크기와 원격에서의 Tab크기가 달라서 발생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vim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Tab 크기를 동일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vimrc 파일을 연다. vim .vimrc 흔히 Tab을 space 4개로 처리하기 때문에 아래의 내용을 .vimrc에 작성한다. (만약 Tab을 space 8개로 처리하고 싶다면 4 대신 8로 작성하면 된다.) set smartindent set tabstop = 4 set expandtab set shiftwidth = 4 # 들여쓰기 작성 후 보통 바로 적용이 되지만 혹시라도 적용이 안되었다면 source .v..
Linux 환경에서 terminal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 혹은 위치에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disk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1. df: 남은 용량 확인 (기본) > df -k: KB 단위로 남은 용량 표기 > df -m: MB 단위로 남은 용량 표기 > df -h: 보기 좋게 남은 용량 표기 > df . : 현재 directory가 포함된 영역의 남은 용량 표기 2. du: 현재 directory의 사용량 확인 > du -a: 파일 단위로 사용량 표기 > du -s: 총 사용량 표기 > du -h: 보기 좋게 사용량 표기 > du -sh *: 한 step의 sub-directory 기준으로 사용량 표기 [참고] jangjy.tistor..